라벨이 평창동계올림픽인 게시물 표시

강원 답사보고서_ 4. 가리왕산 알파인 스키장

이미지
그림 10 스키장 시설 해체작업이 한창인 가리왕산 알파인 스키장  가리왕산은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과정에서 환경 이슈로 자주 부각 되었다 . 가리왕산 중봉에는 알파인스키 경기장이 들어섰다 . 가리왕산은 조선시대부터 산삼을 채취하는 산으로 지정되어 일반 백성의 출입을 통제하고 보호받던 산이었다 . 2008 년에는 산림유전자원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가리왕산에는 주목 , 분비나무 , 피나무 , 왕사스래 나무 등의 보존가치가 높은 산림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다 ( 황인철 . 2018). 3 일 동안의 경기를 위해서 500 년동안 지켜져왔던 가리왕산의 생태계가 파괴되었다 .  전대욱 ⋅ 전진형 (2014) 은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을 둘러싼 논쟁 내용을 정리했다 . 가리왕산 중봉에는 너덜지대의 ‘ 풍혈 ’ 이 있었다 . 풍혈에서는 냉량한 바람이 흘러나와 가리왕산이 위치한 위도와 고도에서는 자라나기 힘든 북방계 식물이 다수 살았다 . 스키장 건설로 풍혈이 파괴되면 아무리 복원사업을 진행한다고 한들 기존 생태계 복원은 불가능했다 . 환경단체는 풍혈과 북방계 식물의 생태계를 강조하며 가리왕산 알파인스키장 건설을 반대했다 . 강원도와 평창 지역주민은 IOC 에서 제시한 활강스키장 조건을 내세우며 가리왕산 개발의 불가피함을 주장했다 . 당시 이들이 주장한 IOC 조건에 따르면 활강스키장은 표고차가 800M 이상 , 평균경사도 17 도 이상 , 슬로프 길이 3000 미터 이상을 만족해야한다 . 강원도와 지역 주민들은 평창 인근에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은 가리왕산이 유일하다고 이야기했다 .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평창 인근 만항재나 전북의 무주리조트가 대체지로 떠올랐지만 , 만항재는 표고차 788M 로 IOC 기준에 다소 미흡했고 , 남향이라 눈이 쉽게 녹는다는 이유로 개최지에서 탈락했다 ( 한겨레 , 2011 년 기사 ). 무주리조트는 강원도가 아닌 전라북도였기 때문에 논의 대상이 아니었다 . 많은 논란 끝에 희귀식물 피해를...

강원 답사보고서_ 3. 평창동계올림픽

이미지
  그림 9 철거공사가 한창인 평창동계올림픽 주경기장과 홀로 남은 성화대  우여곡절 끝에 평창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최순실 일가와 재벌 , 몇몇 부유층들의 재산 축적의 장으로 활용될뻔했던 평창동계올림픽이 남북평화라는 이슈 아래 여러 가지 잡음이 무마되며 무난하게 마무리되었다 . 평창 동계올림픽은 2011 년에 3 번의 도전 끝에 결정되었다 . 앞에 언급한 몇몇 집단의 이익창출을 목적으로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설명하기엔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 실제로 평창동계올림픽은 강원도의 숙원사업이었다 . 강원도는 무엇 때문에 평창동계올림픽을 그토록 원했을까 ?  강준만 (2008) 은 지방자치제도에서 그 답을 찾는다 .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자체는 낙후되어 있고 때문에 재정 상황이 열악하다 . 해당 지역에서 거둬지는 세금만으로 지역 개발정책을 실시 하기엔 부담이 크다 . 그렇다고 지역개발을 등한시하면 지역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다 .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서 지속적인 정치 권력을 누리기 위해서는 재원은 부족하지만 지역개발정책을 실시해야하는 딜레마를 해결해야 한다 .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올림픽 , 엑스포와 같은 메가이벤트의 유치다 . 국가의 위상을 드높이는 기회라는 표어 아래 중앙정부의 재원을 지방으로 효과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 박보현 (2010) 은 그람시 (Gramci) 의 헤개모니 개념과 이를 발전시킨 제솝 (Jessop) 의 헤게모니 프로젝트 개념을 빌려 강원도의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노력을 설명한다 .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는 ‘ 민중 - 민족 프로젝트 ’ 의 하나였다 . 강원도의 토착 정치세력은 도민들의 피해의식을 자극했다 . 강원도민들이 공유하는 피해의식은 세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 첫째 강원도는 적은 유권자 수로 인해 지속적으로 정치적 의사결정에서 소외되어왔다 . 둘째 , 강원도의 천혜의 자연환경은 오히려 산업발달이 저해 요인으로 작용했다 . 특히 수도권에 생활용수를 공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