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독서인 게시물 표시

'지방도시 살생부 _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를 읽고. .

이미지
 중소도시 쇠퇴는 현실이다 . 일자리가 없어서 젊은이들이 떠난 도시에는 고령 인구만 가득하다 . 한국지리 보충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학교 근처로 짧은 답사를 나갔다 . 답사 중에 벤치에 앉아 오가는 사람들을 보았다 . 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연령대는 어디일까 질문을 던졌다 . 대부분 노인임을 확인하고 중소도시에서 나타나는 인구구조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이야기했었다 . 결국은 일자리 때문이다 . 학생들과 진로상담을 하며 미래를 그려보면 남원에서는 원하는 직업을 얻을 기회가 없거나 많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곤 했다 . 남원에 정착해서 사는 나도 결국은 이곳에서 안정적 직업이 있어 살아갈 수 있다 .  중소도시를 고민하는 대부분 사람들도 일자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 그런데  일자리 만들기가 쉬우면 지방 도시 살생부라는 무서운 제목의 책이 나올 이유도 없다 . 전국 곳곳에서 기업을 유치하겠다고 만든 산업단지는 텅텅 빈 곳이 대부분이다 . 순창의 역설이라고 평한 사례처럼 기업을 유치해 높은 수익을 얻을지라도 기계화 , 자동화로 인해 실제 고용 효과는 미비한 경우도 여럿 있다 . 이러한 경향은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표되는 4 차산업혁명 시기에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 함평나비축제처럼 널리 알려진 성공한 축제도 해당 기간에만 사람들이 북적일 뿐 근본적인 일자리 문제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일자리 부족으로 인구가 감소하면 재정지출의 비효율성이 높아진다 . 예를 들자면 시골의 중학교에선 전체학생 30 명을 대상으로 교과 담당 교사 8 명 정도가 근무한다 . 이 부분에서 저자는 중소도시를 돈 먹는 하마에 비유하며 과감하게 도려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 중소도시는 투입하는 자본 대비 이익을 얻는 인구가 소수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 . 시골에 살면 자연 친화적으로 적게 쓰고 적게 소비하며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시골에 사는 인구를 위해 더 많은 돈이 투입된다고 강하게 비판한다 .  중소도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