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도권인 게시물 표시

구룡마을 답사기

이미지
 2011 년에 4 학년 졸업답사로 서울을 다녀왔었다 . 당시 과대표를 맡고 있어 답사 코스를 직접 계획하고 주제를 선정했다 . 인솔 교수님이 경제지리 전공이시라 넓게 인문지리 베이스로 답사를 그렸다 . 도시지리 개론서를 읽으며 서울의 구룡마을이 이중도시 (dual city) 의 사례지역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   포스트모던도시의 다양화와 분절화는 도시 내 사회적 분화의 증가와 공식경제의 역동적 메커니즘과 분리된 도시 ‘ 하위계층 (underclass) 의 등장에 기반하고 있다 . … 중략 … 이러한 사회적 양극화는 도시의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주는데 , 도심 인근의 내부지역과 도시 외곽의 공공주택 밀집지역 등에 도시하위계층이 밀집된 공간이 출연하고 이 지역은 다른 도시 공간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카스텔 (Castells) 은 이러한 도시를 ’ 이중도시 ‘(dual city) 라고 개념화하고 있다 . … 중략 … 전반적으로 포스트모던도시에서 유연적 전문성을 갖춘 새로운 상위계층들은 도시내부의 재활성화를 위해 ’ 담으로 둘러싸인 ‘ 주거단지에 거주하면서 사치성 소비를 향유하는 반면 , 하위계층은 사회공간적으로 분리 , 축출 , 제거되어 풍요로운 도시의 가시적 경관으로부터 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 김인 외 , 2006). 2011년 3월의 구룡마을 2018년 7월의 구룡마을  2011 년에 처음 방문했을 때도 내년이라도 마을이 철거될 것 같은 기사들을 찾을 수 있었다 . 2018 년 7 월 , 이곳 근처에서 일정이 있어 시간을 내어 다시 방문했다 . 기사로 먼저 확인하니 구룡마을에 대한 복잡한 이야기는 아직도 지속되고 있었다 . 구룡마을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복잡했다 . 단순하게 마을주민과 재개발을 하려는 지자체의 갈등이 아니었다 . 지역주민은 민영개발이냐 공영개발이냐를 놓고 두 개의 단체가 대립하고 있다 . 구룡마을자치회는 정부 주도의 공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