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방도시 살생부인 게시물 표시

'지방도시 살생부 _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를 읽고. .

이미지
 중소도시 쇠퇴는 현실이다 . 일자리가 없어서 젊은이들이 떠난 도시에는 고령 인구만 가득하다 . 한국지리 보충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학교 근처로 짧은 답사를 나갔다 . 답사 중에 벤치에 앉아 오가는 사람들을 보았다 . 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연령대는 어디일까 질문을 던졌다 . 대부분 노인임을 확인하고 중소도시에서 나타나는 인구구조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이야기했었다 . 결국은 일자리 때문이다 . 학생들과 진로상담을 하며 미래를 그려보면 남원에서는 원하는 직업을 얻을 기회가 없거나 많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곤 했다 . 남원에 정착해서 사는 나도 결국은 이곳에서 안정적 직업이 있어 살아갈 수 있다 .  중소도시를 고민하는 대부분 사람들도 일자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 그런데  일자리 만들기가 쉬우면 지방 도시 살생부라는 무서운 제목의 책이 나올 이유도 없다 . 전국 곳곳에서 기업을 유치하겠다고 만든 산업단지는 텅텅 빈 곳이 대부분이다 . 순창의 역설이라고 평한 사례처럼 기업을 유치해 높은 수익을 얻을지라도 기계화 , 자동화로 인해 실제 고용 효과는 미비한 경우도 여럿 있다 . 이러한 경향은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표되는 4 차산업혁명 시기에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 함평나비축제처럼 널리 알려진 성공한 축제도 해당 기간에만 사람들이 북적일 뿐 근본적인 일자리 문제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일자리 부족으로 인구가 감소하면 재정지출의 비효율성이 높아진다 . 예를 들자면 시골의 중학교에선 전체학생 30 명을 대상으로 교과 담당 교사 8 명 정도가 근무한다 . 이 부분에서 저자는 중소도시를 돈 먹는 하마에 비유하며 과감하게 도려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 중소도시는 투입하는 자본 대비 이익을 얻는 인구가 소수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 . 시골에 살면 자연 친화적으로 적게 쓰고 적게 소비하며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시골에 사는 인구를 위해 더 많은 돈이 투입된다고 강하게 비판한다 .  중소도시의 ...

태안반도 답사보고서 _ 내포신도시

이미지
내포신도시에 위치한 충남도청 1. 내포신도시 내포신도시는 지역균형발전을 목적으로 홍성군과 예산군 경계에 만들어진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다 . 내포신도시 개발은 2008 년 ~13 년까지의 조성단계 , 2014 년 ~15 년까지의 발전단계 , 2016~20 년까지의 정착 단계로 계획되었다 . 2020 년까지 인구 10 만 명 거주를 목표로 건설되었는데 2018 년 4 월 기준 현재 인구는 2 만 3 천 명이다 . 애초에 크지 않은 규모로 계획된 도시긴 하지만 원래 목표치의 30% 도 이루지 못한 인구 규모가 나타난다 . 내포신도시의 개발 계획에는 당시 유행했던 도시 관련 개념들이 집약되어 있다 . 표 1 의 내포신도시 8 대 특성화 계획을 중심으로 도시가 계획되고 건설되었다 . 그린시티 , 자전거 천국 도시 , 창조도시 등 익숙한 개념들이 여럿 포함되어있다 . 오용준 ⋅ 윤갑식 (2016) 은 내포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개발 계획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 먼저 만족도 조사에서 주민들은 5 無 도시 , 공공디자인 , 공원 조성 등에 만족도가 높은 반면 교육특화 도시 , 자전거 천국 도시에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 다음으로 중요도 조사에서는 특성화 대학 조성을 가장 높게 나타냈다 . 내포신도시 주민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교육인 듯하다 . 한국에서 부동산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교육이라고 한다 . 어쩌면 내포신도시 인구유입을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공공기관이나 산업시설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 아니라 지역주민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여건 조성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 애석하게도 . 마강래 (2017) 은 ‘ 지방도시 살생부 ’ 라는 자신의 저서에서 지방으로의 예산투입의 비효율성을 경계하자고 주장한다 . 압축도시 (compact) 를 이야기하며 지방에서 특정 거점을 선정하고 그곳에 도시기반 시설을 집중적으로 입지시켜 버릴 곳은 버리고 살릴 곳은 살려 효율성을 도모하자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