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원자력발전인 게시물 표시

태안반도 답사보고서 _ 태안화력발전소

이미지
미세먼지 덕분에 봄이 반갑지 않다 . 미세먼지의 원인은 상당부분 중국이 제공한다 . 미세먼지가 심한 날 인터넷 게시판이 중국에 대한 불만으로 잔뜩 도배되어 있길래 , 그렇기도 한데 실은 한국도 일정 부분 지분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가 많은 사람의 비난성 댓글을 받은 경험이 있다 . 중국이 많은 원인제공을 하는 것은 사실이다 . 그런데 중국에게 미세먼지 때문에 피해가 크니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저감장치를 달아달라고 요구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 일단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부터 해보자는 게 내 생각의 핵심이었다 . 화력발전소를 줄이고 , 경유차도 줄이자 . 에너지원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미세먼지 유발 요소들을 저감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지 않을까 지금도 생각한다 . 다행히 정권이 바뀌고 화력발전을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고 있다 . 화력발전소에 대한 규제를 풀고 수많은 발전소 건립을 허가해준 옛 정권이 원망스럽다 . 천성남 (2016) 에 따르면 미세먼지의 전국오염원별 총량을 분석하니 발전소가 전체 배출량의 17% 를 차지했다 . 결코 , 작은 수치가 아니었다 .  이곳은 신두리해안사구로 향하는 길에 거대한 굴둑과 솟아오르는 연기를 보고 즉흥적으로 결정한 답사지역이다 . 자료를 찾아보니 태안화력발전소의 규모는 상당했다 . 태안화력발전소는 한국서부발전 ( 주 ) 의 전체 발전량의 약 45% 를 차지한다 . 전국 화력발전 설비용량으로 따지면 전체의 5.4% 를 차지한다 . 이곳에서 생산된 전기는 주로 수도권 주민들에게 공급된다고 한다 . 바람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피해는 충청권 사람들이 주로 보지만 전기생산으로 인한 이득은 수도권 사람이 얻는 공간적 불일치가 일어난다 . 언젠가 수업시간에 원자력발전의 입지를 가르친 경험이 있다 . 교과서에선 원자력발전의 입지조건으로 안정된 지반 , 풍부한 용수공급을 든다 . 그런데 전기는 송전 거리가 멀어질수록 손실이 점차 많이 일어난다 . 효율성을 따진다면 소비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