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춘계정기학술답사 충북 2일차

1. 초강천 구하도 한국지리를 가르칠때...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모두를 1차산맥이라 가르친다. 그런데 한국에서 지형학이 연구되던 초기에는 태백산맥만 1차산맥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소백산맥의 시작점인 이 지역의 연구를 통해 소백산맥도 태백산맥이 융기되던 비슷한 시기에.. 높은 융기율로 솟아 올랐다는 것이 증명되어.. 지금 우리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모두를 1차산맥으로 알고있다. 융기의 증거로 언급되는 감입곡류하천, 하안단구와 같은 지형들을 이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여기 경사 엄청 가파르다 하산길에 여학생들은 거의 기어 가다시피 내려갔다..ㅎㅎ 월류봉 광장에서 미앤더낵이 절단되는 과정을 설명중이시다~ 단구면의 모래 퇴적층을 찾아가다 발견한 지형 강수시에만 일시적으로 흐르는 하천에 의해 퇴적물질이 공급되었다 그런데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매스무브먼트에 의한 운반작용도 활발할 것이다 뭐라고 이름 붙이기 애매한 지형~ㅋㅋ 비교적 원마도가 높은 퇴적물층에서 과거 하천의 운반작용과 마식으로 인한 원마도 증가를 설명하고 계시다~ 구하도 내부로 들어왔다 과거 공격사면이었을 곳에 애추가 발달해있다 이 애추의 존재가 활발했을 옛 하천의 침식력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구하도 내부에서 바라본 모습 저 멀리 오전에 올랐던 월류1봉이 보인다 2. 황간면 귀농인과의 만남 영동군청의 도움으로 황간면 일대에 귀농해서 살아가시는 분들을 만날 수 있었다~ 정착 과정에서 어려움, 극복 과정, 지자체의 지원 노력 등을 들을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3. 백화산 논문에서는 백화산을 뷰트로 표현했다. 그런데 뷰트일까? 아리송했다. 정상부가 그리 평탄해 보이진 않기 때문이다~ 의문점 가득 ! 답사 종료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