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영동국악체험촌인 게시물 표시

2018 춘계정기학술답사 충북 1일차

이미지
1. 대청댐 청주에서 오랜 시간 학교를 다니고 있음에도.. 대청댐이 대전과 청주의 앞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란 사실을 오늘에서야 알았다ㅎㅎ 대청댐에 들르기 전 이창환의 '근대 이후 상운암 주민들의 수몰의 역사와 좌절의 경험'이란 글을 읽었다. 댐 건설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이 겪었을 고통을 간접적으로나마 이해해보기 위해서였다. 대청댐 물문화관에 들르니 수몰 전 지역주민들의 삶을 담은 사진과 글이 많았다. 당시는 지금보다 훨씬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국가정책이니 무조건 떠나야하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조상 대대로 살아오던 장소에서 갑자기 떠나야할 때 어떤 기분이었을까... 정부에서는 수몰지역에 위치한 문화재 보호를 위해 문의문화재 단지를 만들고 수몰민들이 관광자원으로 활용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대통령 별장인 청남대도 대청댐 인근에 위치해있다. 후에 청남대가 개방되면서 지역주민의 관광소득 증대를 위해 입장료를 받는 곳을 청남대에서 한참 떨어진 문의면에 만들었다고 한다.. 입장권 사면서 밥도 먹고 여유 있으면 쉬었다 들어가라고..... 대동여지도는 산줄기와 물줄기가 중심이 되는 지도다. 당시 강은 생활권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식수, 생활용수 공급원이면서 중요한 교통로이기도 했다. 이런 대동여지도에 물줄기를 강조해서 금강의 수계를 표현했다. 탁월한 선택인거 같았다. 놀라웠던 점은.. 대청댐의 물이 흐르고 흘러.. 충남 최북단인 아산쪽 공업지대에 공업용수로 공급된다는 사실이다 ㅎㅎ 2. 옥천묵집 점심으로 먹었던 옥천의 묵밥집..'옥천묵집'.. 맛이 자극적이긴 했지만.. 그래도 꽤 괜찮은 맛이었다. 같이 밥을 먹었던 학생들은 도토리칼국수가 더 맛있었다고 칭찬을 했다 도토리묵은.. 충북 내륙 산간지역 화전민들의 주식이었다고 한다. 먹고 살기 힘든 시절.. 산에서 도토리를 주워 묵을 쒀 먹었다고 ㅎㅎ.. 그래서 이 묵밥은 충북의 지역성을 대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