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알파인스키경기장인 게시물 표시

강원 답사보고서_ 4. 가리왕산 알파인 스키장

이미지
그림 10 스키장 시설 해체작업이 한창인 가리왕산 알파인 스키장  가리왕산은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과정에서 환경 이슈로 자주 부각 되었다 . 가리왕산 중봉에는 알파인스키 경기장이 들어섰다 . 가리왕산은 조선시대부터 산삼을 채취하는 산으로 지정되어 일반 백성의 출입을 통제하고 보호받던 산이었다 . 2008 년에는 산림유전자원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가리왕산에는 주목 , 분비나무 , 피나무 , 왕사스래 나무 등의 보존가치가 높은 산림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다 ( 황인철 . 2018). 3 일 동안의 경기를 위해서 500 년동안 지켜져왔던 가리왕산의 생태계가 파괴되었다 .  전대욱 ⋅ 전진형 (2014) 은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을 둘러싼 논쟁 내용을 정리했다 . 가리왕산 중봉에는 너덜지대의 ‘ 풍혈 ’ 이 있었다 . 풍혈에서는 냉량한 바람이 흘러나와 가리왕산이 위치한 위도와 고도에서는 자라나기 힘든 북방계 식물이 다수 살았다 . 스키장 건설로 풍혈이 파괴되면 아무리 복원사업을 진행한다고 한들 기존 생태계 복원은 불가능했다 . 환경단체는 풍혈과 북방계 식물의 생태계를 강조하며 가리왕산 알파인스키장 건설을 반대했다 . 강원도와 평창 지역주민은 IOC 에서 제시한 활강스키장 조건을 내세우며 가리왕산 개발의 불가피함을 주장했다 . 당시 이들이 주장한 IOC 조건에 따르면 활강스키장은 표고차가 800M 이상 , 평균경사도 17 도 이상 , 슬로프 길이 3000 미터 이상을 만족해야한다 . 강원도와 지역 주민들은 평창 인근에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은 가리왕산이 유일하다고 이야기했다 .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평창 인근 만항재나 전북의 무주리조트가 대체지로 떠올랐지만 , 만항재는 표고차 788M 로 IOC 기준에 다소 미흡했고 , 남향이라 눈이 쉽게 녹는다는 이유로 개최지에서 탈락했다 ( 한겨레 , 2011 년 기사 ). 무주리조트는 강원도가 아닌 전라북도였기 때문에 논의 대상이 아니었다 . 많은 논란 끝에 희귀식물 피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