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신두리인 게시물 표시

태안반도 답사보고서 _ 신두리 해안사구

이미지
신두리 해안사구는 이번 답사의 목적지였다 . 처음 답사 계획은 이곳만 둘러보고 돌아올 계획이었다 . 학부 시절 이곳을 두 세 차례 들렀던 기억이 난다 . 그때 남겨놓았던 답사 사진들을 관리 소홀로 모두 잃어버려 수업자료를 만들고자 다시 신두리 해안사구를 찾았다 . 해안사구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 해안사구의 퇴적에는 파랑 , 조수와 같은 바닷물의 흐름과 바람의 침식 , 운반 , 퇴적 작용이 모두 관여할 수 있다 .   서종철 (2010) 에 따르면 2007 년에 있었던 태안 기름유출 사고는 신두리 해안사구의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 당시 유출된 기름이 해안사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울타리를 사구 전면에 설치했다 . 울타리는 동시에 바람에 날리는 모래를 잡아두는 모래포집기의 역할을 했다 . 기름 유입을 막으면서 사구까지 성장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해낸 것이다 . 학부 시절 이곳을 방문했을 때 사구 전면의 울타리를 여럿 관찰했다 . 그 울타리들이 이러한 연유로 만들어졌다 . 그런데 이번에 다시 방문하니 울타리의 흔적을 찾을 수가 없었다 . 그때 심었던 울타리는 사구의 성장으로 모두 모래 속에 묻혀 있다고 한다 . 그 때문에 울타리의 재료가 중요하다 . 한 번 묻힌 울타리를 다시 꺼내는 작업은 사구를 다시 파괴하고 추가적인 비용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사구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썩어들어 가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 그래서 대나무형 사고 울타리가 환경을 고려했을 때 적합하다 . 그런데 당시는 오염물질의 이동을 막는 게 급선무였기 때문에 급한 대로 그물형 울타리를 제작해 설치했다 . 그물은 대부분 화학물질이라 부식이 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 홍성찬 ⋅ 최정헌 ⋅ 김종욱 (2010) 은 GPR 탐사와 OSL 연대측정을 활용해 신두리해안사구의 퇴적 과정을 연구했다 . 황해는 최후빙기 시기 전체가 육지였다 . 이후 해수면이 상승하고 지금 상태로 안정된 상태에서 파랑의 작용으로 형성된 퇴적지형들은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