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질오염인 게시물 표시

강원 답사보고서_ 7. 도암호의 수질오염

이미지
 도암댐은 유역변경식 발전소로 남한강수계인 송천을 강릉 남대천으로 돌려 큰 낙차를 활용해 발전을 했다 . 그런데 2001 년 이후 발전방류는 멈춘 상태다 . 강릉지역 주민들의 반발 때문이다 . 도암호의 수질오염이 심해 강릉 남대천 유역에 환경오염 피해가 나타났다 . 강원도 산간지역이라 청정지역일거 같지만 도암호로 흐르는 송천은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 송천이 흐르는 대관령면에는 축산단지 , 골프장 , 농경지등이 여럿 있다 . 특히 여름철 집중 강우가 내릴때면 수많은 오염물질들이 하천에 유입된다 ( 박경훈 외 , 2012)  고랭지농업은 도암호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다 . 이 일대의 고랭지에서는 배추농사가 활발하다 . 그림 20 에 보이듯이 배추는 여름철 경작 기간을 제외하곤 나지 상태로 있어 강수시 토양침식에 취약하다 . 사진은 6 월 말에 촬영되었는데 일기예보상 장마가 불어오기 직전이었다 . 실제로 답사 후 1 주일 뒤 장마가 시작되었다 . 배추의 생육상태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 빈  공간을 따라 빗방울이 떨어지며 토양침식을 일으킬 것이다 . 동시에 뿌려놓은 비료들도 씻겨 내리며 하천을 따라 도암호로 유입된다 . 박경훈 외 (2011) 에 따르면 안반데기에서는 비료 사용과 농약 투입의 악순환이 지속된다 . 배추밭은 나지상태로 유지되는 기간이 길어 토양 및 양분 유실이 심하다 . 때문에 비료를 많이 투입할 수 밖에 없는데 안개가 끼거나 강수가 있을때면 비료 때문에 병충해 발생이 심하다 . 병충해를 막기 위해 농약을 투입하며 토양과 하천이 오염된다 . 이렇게 오염된 물이 송천을 흘러 도암호로 유입된다 .   안반데기 입구에는 강수시 토사유출을 짐작할 수 있는 미지형이 발달해 있었다. 마치 기후변화에 의한 단구가 만들어지는것처럼 강수시 토사유출로 하곡을 넓게 매웠던 퇴적물들이 건조한 시기에 유량이 적은 하천에 의해 침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미지형은 일반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