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답사보고서_ 1. 백룡동굴

그림 1 백룡동굴의 위치 백룡동굴 가는 길은 굽이굽이 멀기도 하다. 평창까지 세 시간 남짓 달려 백룡동굴이 위치한 미탄면에 도착했다. 동굴 근처에 다다르자 갑자기 도로가 1차선으로 좁아졌다. 지도 어플을 켜서 위치를 확인하니 정확하게 가고 있었다. 맞은편에서 오는 차가 있으면 잠시 구석으로 멈춰가며 그림 2에 보이는 좁은 도로를 따라 굽이쳐 흐르는 강을 거슬러 올라 백룡동굴 방문자센터에 도착했다. 간단한 신상기록과 서약서를 작성한 뒤 동굴에 들어갈 탐방복으로 옷을 갈아입었다. 500m쯤 나루터까지 걸어간 뒤 배를 타고 동굴 입구에 도착했다. 과거에는 절벽을 따라 탐방로를 통해 동굴에 접근했는데 낙석 위험 때문에 지금은 배를 타고 이동한다. 그림 2 백룡동굴 안내센터로 향하는 1차선 도로 백룡동굴은 접근하기 참 어렵다 . 그 덕분이지 백룡동굴은 보존상태가 국내 어느 동굴보다 양호하다 . 서무송 (1998) 에 따르면 백룡동굴은 두 가지 이유에서 접근성이 낮다 . 첫 번째는 앞서 언급한 백룡동굴의 위치 때문이다 . 백룡동굴은 감입곡류하천의 공격부분에 형성된 하식애 중간쯤에 동굴 입구가 있다 . 그림 2 와 같이 굽이쳐 흐르는 하천을 따라 안내센터에 도착한 뒤에도 배를 타야지만 접근할 수 있다 . 두 번째는 동굴 내부의 구조다 . 백룡동굴은 인근 지역 주민들에겐 널리 알려진 장소였다 . 동굴입구에는 조선시대에 거주했던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온돌 유적도 있다 . 동굴은 연중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비바람을 피하기에도 유리한 곳이다 . 집을 짓는 기술이 발달하기 전 인류는 동굴 거주를 선호했다 . 그런데 지역주민인 백무룡씨가 ‘ 개구멍 ’ 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동굴 내부의 거대한 공간을 아무도 알지 못했다 . 그림 3 의 개구멍 뒤에 있는 공간은 비교적 최근까지 미지의 상태로 있었다 . 사람들에게 알려져 출입이 가능했던 동굴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동굴생성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