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건천인 게시물 표시

강원 답사보고서_ 2. 카르스트 건천 '창리천'

이미지
그림 7 창리천에 나타나는 과거 유수의 흔적인 하식애와 보  백룡동굴을 나와 정선 시내로 향하던 중 말라버린 하천을 발견했다 . 지도 애플리케이션에는 하늘색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었다 . 처음에는 가물어서 말라버린 작은 하천이 아닐까 생각했다 . 하천바닥에 자라난 식생들은 이곳에 물이 흐르지 않은 기간이 꽤 길었음을 보여주는 듯 했다 . 그런데 그림 7 에 가운데  부분에 선명하게 보이는 하식애 , 가운데 아래 부분에 인간이 만들어 놓은 보를 보면 비교적 최근까지도 물이 꽤 많이 흘렀으리라 생각이 들었다 . 하식애는 창리천의 이 지역이 꽤 오랜시간 침식력을 가진 유수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 보는 흐르는 물을 가둬놓아 농업용수 , 식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공구조물이다 . 아마도 좌측의 민가에서 하천수를 사용하기위해 만든 것 같다 . 보를 통해 비교적 최근까지도 인간이 이용 가능한 수준의 물이 이곳에 흘렀음을 추측할 수 있다 . 그런데 지금은 물이 흐르지 않는다 . 식생을 통해 보아도 이곳은 물이 흐른지 시간이 꽤 되었다 .    강영복 (1998) 은 평창군 미탄면의 고마루 일대를 답사하고 이곳에서 나타나는 카르스트지형을 보고했다 . 고마루 지역은 90 여개의 돌리네 및 우발라가 나타나는 전형적인 카르스트 지역이다 . 이곳을 흐르는 창리천에는 평상시에 물이 거의 흐르지 않는 건천 구역이 중간중간 나타난다 . 창리천 뿐만 아니라 고마루 일대의 동강 지류천들은 대부분 건천이 유로 상에 존재한다 . 이들 하천의 물은 배수구인 포노르에서 사라진다 . 다음 답사 일정이 있어 사진만 찍고 이동했다 . 시간이 조금 더 있었더라면 창리천의 배수구를 찾아서 유로를 따라 답사를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 그림 8 광덕리 마을의 배수 시스템  탁한명 ・ 손일 (2014) 은 정선군의 광덕리의 수령마을에서 포노르를 강수 시 배수구로 활용하는 마을을 소개했다 . 수령마을은 우발라에 위치한 마을로 ...